제주 유나이티드(제주)의 새로운 감독이 확정됐다. 제주는 5일 보도자료를 통해 지난 2021년 도쿄올림픽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었던 김학범 감독의 사령탑 선임을 알렸다. 김학범 감독은 한국 축구의 대표적인 감독으로 손꼽힌다. 성남 일화(2005~2008), 허난 젠예(중국, 2010), 강원 FC(2012~2013), 성남 FC(2014~2016), 광주 FC(2017) 등에서 감독 커리어를 쌓았고,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자기 발전도 병행했다. 2006년 모교 명지대에서 운동생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함으로써 국내 1호 축구 선수 출신 박사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휴식기에는 남미와 유럽을 찾아다니며 세계 축구의 흐름을 읽고 선진 축구 이식에 힘쓰는 등 부지런한 행보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선수단 운용과 전략 구사에 탁월함을 발휘했고 알렉스 퍼거슨 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에 빗댄 '학범슨(김학범+퍼거슨)'이라는 별명도 얻었다. 국가대표팀에서도 그 능력을 입증했다. 2018년 3월 U-23 대표팀 지휘봉을 잡았고, 5개월만인 그 해 8월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경기 운영 면에서 논란을 뒤엎는 와일드카드
대구 FC가 시즌 최종전인 38라운드 홈경기에서도 티켓 매진을 이어갔다. 아울러 ‘SON OF SUN’ 이근호의 은퇴식도 예고했다. 12월 3일(일) 오후 2시 DGB 대구은행파크에서 펼쳐지는 ‘하나원큐 K리그1 2023’ 38R 대구 FC와 인천 유나이티드의 경기 티켓이 26일 전량 판매 완료됐다. 이번 매진은 대구의 5경기 연속 매진이자, 올 시즌 11번째 매진이다. 대구의 2023시즌 마지막 홈경기이자, ‘태양의 아들’ 이근호 선수의 은퇴식이 예정되어 있었기에 많은 관심을 받았다. 대구는 올 시즌 관중 동원에서 새로운 역사를 썼다. K리그1 37라운드까지 홈경기 18회 누적 관중 수 196,006명, 경기당 평균 관중 수 10,889명을 기록함으로써 K리그1 평균 관중 수(10,643명)를 넘어섰다. K리그1 구단 중 6위로 성적에 비례하는 흥행 달성이다. 12월 3일(일) 마지막 홈 경기 당일 공식 관중 집계에 따라 시즌 최다 누적 관중(2019년 19경기 누적 203,942명) 갱신도 유력하다. 최종전에선 이근호 선수의 은퇴식도 함께 진행된다. 대구 FC는 키트 파트너인 골 스튜디오와
인천이 ‘對 요코하마 피니셔’ 에르난데스를 다시 한 번 소환하며 ACL 본선 진출의 희망을 이어갔다. 28일 오후 7시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는 ‘2023-2024 AFC 챔피언스리그(ACL)’ G조 조별예선 5차전 인천 유나이티드와 요코하마 F. 마리노스의 경기가 펼쳐졌다. 홈 팀 인천은 요코하마를 상대로 2:1로 승리. 본선 진출의 가능성을 한단계 더 끌어올렸다. G조 3위(인천)와 1위(요코하마)의 대결이었다. 인천은 승리 시 순위 탈환이 가능했고, 요코하마는 승리 시 본선 진출을 사실상 확정 지을 수 있었다. 요코하마 홈에서 펼쳐진 조별 예선 1차전 맞대결은 인천의 4:2로 승리였다. 인천은 지난 리그 경기 울산전 승리 주역들을 거의 그대로 가동했다. 주축 선수들이 부상으로 이탈한 가운데 리그 경기에서 골 맛을 보고 선발 명단에 이름을 올린 박승호, 홍시후 등 영건들의 활약이 중요했다. 인천은 전반 초반부터 기선을 제압했다. 선봉장은 홍시후였다. 전반 11분 역습 과정에서 천성훈의 슈팅이 골키퍼 선방에 막혀 흘러나오자 홍시후가 이를 놓치지 않고 발리 슈팅으로 마무리. 팀의 선제골을 만들어냈다. 홍시후의 ACL
'호남 더비'서 전북이 광주의 돌풍을 잠재우고 3위 경쟁 구도를 시즌 최종전까지 이어갔다. 25일 오후 2시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는 ‘하나원큐 K리그1 2023‘ 37라운드 전북 현대와 광주 FC의 시즌 4번째 맞대결이 펼쳐졌다. 전북은 전반 터진 안현범과 송민규의 연속골을 잘 지켜내면서 광주에 2:0으로 완승했다. 아시아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티켓의 향방이 결정되는 중요한 경기였다. 광주는 승리 시 리그 3위 확정에 더해 구단 최초의 ACLE 출전권 획득이 가능했다. 반대로 전북은 승리 시 전날 승리한 인천과 더불어 3위 경쟁을 마지막까지 혼돈에 빠드릴 수 있었다. 올 시즌 FA컵 포함 상대전적은 4전 3승 1패로 전북이 우세했다. 전북은 풀 전력을 모두 가동했다. 김정훈 골키퍼와 김진수-홍정호-정태욱-안현범이 후방을 책임졌고, 중원은 백승호와 박진섭, 아마노 준이 조화를 이뤘다. 최전방은 박재용을 축으로 좌우에 송민규와 이동준이 출격했다. 광주는 국가대표에 차출됐던 이순민과 아사니가 명단에서 빠지면서. 이상기와 토마스가 자리를 대체했다. 전력 누수 속 올 시즌 선발로 첫 호흡을 맞추는 최전방 오후성과 이건희의 역
‘하나원큐 K리그2 2023’이 마지막 39R를 남겨놓고 있다. K리그1으로 다이렉트 승격하는 우승팀 경쟁은 부산(승점 69점)과 김천(승점 68점)의 2파전으로 좁혀졌다. 두 팀은 최종전 결과를 통해 승격과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티켓 1장을 나눠 갖는다. 나머지 1장의 티켓을 놓고 K리그2 3~5위 팀이 ‘K리그2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리그 3위 김포(승점 60점)는 일찌감치 자리를 잡고 상대를 기다리고 있다. 4위 경남(승점 54점), 5위 부천(승점 54점), 6위 전남(승점 53점), 7위 안양(승점 51점)중 2팀이 ‘K리그2 준플레이오프’를 거쳐 김포의 카운터 파트너로 결정된다. 'K리그2 준플레이오프' 최종 후보 확정과 직결되는 39R 경기들을 살펴본다. 부천 FC 1995 VS 전남 드래곤즈 ‘K리그2 준플레이오프’ 후보 2팀 중 1팀은 반드시 부천과 전남 중에서 나온다. 부천의 진출 가능성이 다소 높다. 부천은 무승부 이상만 기록하면 자력으로 5위 자리 확보가 가능하다. 전남도 희망이 없지 않다. 승리 시 준PO 진
수원이 정신력을 앞세워 승점 3점을 획득했다. K리그1 강등 구도도 더욱 흥미진진해졌다. 12일 오후 2시 수원 종합운동장에서는 ‘하나원큐 K리그1 2023’ 수원 FC와 수원 삼성의 시즌 4번째 ‘수원 더비’이자 36라운드 경기가 펼쳐졌다. 수원은 전반 카즈키의 퇴장으로 수적 열세에 몰렸지만, 아코스티의 동점골, 안병준의 역전골, 김주찬의 재역전골이 터지면서 수원 FC에 3:2로 승리했다. 수원 FC와 수원 삼성 모두에게 승리가 절실한 경기였다. 전날 10위 강원이 승전보를 울리면서 강등권 3팀(수원 FC, 강원, 수원)의 강등 탈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 상황이었다. 강원에 승점 2점차로 쫓기게 된 수원 FC(승점 32점)는 승리 시 다이렉트 강등 후보 탈출이 가능했다, 12위 수원 삼성(승점 26점)은 남은 경기 자력 생존의 길을 밟기 위해서 승리가 필수였다. 라이벌전을 반영하듯 양 팀의 전반은 드라마틱했다. 먼저 웃은 쪽은 수원 FC였다. 전반 15분 수원 카즈키가 비신사적인 행동으로 다이렉트 퇴장을 당하면서 전반 초반부터 수적 우위를 점했다. 수적 우위는 세트 플레이 상황에서 빛을 발했다. 전반 30분 코너
전북이 싱가포르에서 라이언시티에게 충격적인 완패를 당하며 2패째를 안았다. 한국시간 8일 오후 7시 싱가포르 Jalan Besar Stadium에선 ‘2023-2024 AFC 챔피언스리그’ 매치데이4 라이언시티와 전북 현대의 경기가 펼쳐졌다. 원정팀 전북은 홈팀 라이언시티에게 전/후반 각각 1골씩을 허용하면서 0:2 패했다. 전북의 조 1위 본선행도 어두워졌다. 양 팀 모두 승리가 필요한 경기였다. 조 1위 방콕에 승점 3점이 뒤져있는 전북은 혹시 모를 2위 경쟁에 대한 대비가 필요했다. ACL에서는 각 조 2위 5팀 중 상위 3팀이 본선에 진출하는만큼 사전 승점 확보가 중요했다. 라이언시티도 전북 전 패배시 조별예선 탈락이 확정되기에 퇴로가 없었다. 전북은 지난 매치데이3 라이언시티전 선발 라인업을 뼈대로 후방에는 로테이션을 가동했다. 박재용을 중심으로 지난 경기에서 재미를 본 발 빠른 문선민-이동준 콤비로 공격진을 구성했고, 아마노와 백승호-이수빈은 중원에서 트라이앵글을 형성했다. 정민기 골키퍼가 장갑을 낀 후방은 정우재, 구자룡, 최철순이 기존 정태욱과 함께 포백을 이뤘다. 전북의 전반은 불안했다. 내려앉는 전술을 펼친 라이언시티
흥행몰이에 성공한 ‘하나원큐 K리그1 2023’이 울산의 우승으로 마무리를 향해 가고 있다. 리그 35라운드를 통과한 K리그1은 현재까지 222만명의 관중을 동원 중이다. 지난 2012년의 238만명 이후 가장 많은 관중 수로 38R 종료시점에는 최근 10년 내 최다 관중 수 갱신이 유력하다. 흥행을 담보할 우승 경쟁은 조기에 막을 내렸지만, 남은 3번의 라운드에서의 흥미로운 요소들은 충분하다. 남은 경기 관전포인트들은 무엇일까. #다이렉트 강등과 승강 PO. 비극의 결말 K리그1의 강등 시스템은 이렇다. 리그 12위팀은 2부 다이렉트 강등, 리그 11위팀은 K리그2 2위팀과 승강 플레이오프(PO)를 치른다. 거기에 더해 10위 팀까지 K리그2 PO(3-4-5위팀) 승자와 승강 플레이오프를 펼쳐야 한다. 현재 파이널 B(7위~12위)팀들 중 강등 후보군은 수원 FC(승점 32점), 강원(27점), 수원(26점)으로 좁혀졌다. 공교롭게도 3팀은 남은 라운드에서 서로간의 맞대결이 남아있다. 주목되는 경기는 36R 수원 FC와 수원 삼성의 ‘수원 더비’다. 수원 FC는 더비 승리 시 다이렉트 강등 후보에서 벗어난다. 수
FA컵 준결승 2경기가 마침내 시작된다. FA컵 우승컵의 향방도 오는 주말 결정될 예정이다. 지난 8월 치러질 예정이던 ‘2023 하나원큐 FA컵’ 준결승 2경기가 순연된지 약 3개월만인 오는 1일 오후 7시 전주와 제주에서 동시에 치러진다. 전주 월드컵 경기장에서는 전북 현대와 인천 유나이티드가 격돌한다. 두 팀은 각각 리그 4위(전북)와 5위(인천)로 승점 1점차 박빙의 순위 경쟁을 벌이고 있다. 두 팀의 목표는 동일하다. FA컵 우승이다. 리그 2위 경쟁의 앞선을 포항과 광주에게 내어준 두 팀은 FA컵 우승에 포커스를 맞추고 있다. FA컵 우승은 단순 우승을 의미하지 않는다. 상금에 더해 내년부터 재편되는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ACLE) 출전 티켓도 걸려있다. 협회별 할당량이 4장에서 3장으로 줄면서 1장의 티켓이 걸린 FA컵의 가치는 더욱 상승했다. 두 팀 입장에서는 3경기 전승을 거둬도 2위 탈환이 불확실한 리그보다는 2경기 승리 시 우승이 가능한 FA컵에 집중할 수 밖에 없다. 올 시즌 리그에서의 상대 전적은 전북이 앞서 있다. 3경기 2승 1무로 홈 2경기는 모두 2:0으로 완승했다. 통산 성적도 우세하다. 57전 2
2023시즌 K리그 중흥과 함께 리더의 변화가 선명해졌다. 29일 오후 2시 울산 문수월드컵경기장에서는 ‘하나원큐 K리그1 2023’ 파이널라운드 울산 현대와 대구 FC의 35R 경기가 펼쳐졌다. K리그1 우승팀의 향방이 조기 확정될 수도 있는 경기에서 홈 팀 울산은 대구를 2:0으로 꺾으면서 지난 시즌에 이어 리그 2연패를 확정지었다. 어느 정도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였다. 우승 경쟁자로 꼽힌 포항이 전날 전북과 무승부를 기록하면서 울산의 마음은 한결 가벼워진 상태였다. 경기 전 1위 울산(승점 67점)과 2위 포항(승점 60점)의 승점차는 7점으로, 승리한다면 남은 3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우승 확정이었다. 대구 상대 지표도 좋았다. 올 시즌 3번의 맞대결에서 2승 1무를 기록하며 단 한차례도 주도권을 넘겨주지 않았다. 유일한 우려 요소는 최근 리그 3경기동안 소식이 없었던 득점력뿐이었다. 울산은 아시안게임 대표팀 차출에서 복귀한 엄원상, 설영우가 선발명단에 이름을 올린 가운데, 이청용과 바코, 마틴 아담 등이 출격시키면서 최정예로 조기 우승을 겨냥했다. 대구는 리그 6위로 파이널 A 끝자리에 극적으로 탑승한 상태였다. 리그 2위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