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시즌 인천 유나이티드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인천은 지난 10일 K리그 외인 최다 연봉선수인 제주 제르소의 영입을 알린데 이어 20일에는 지난 시즌 ‘K리그 베스트 11’을 수상한 포항의 미드필더 신진호를 영입을 발표했다. 시즌 전 소위 '네임드' 선수들을 차곡차곡 확보하는 부지런한 움직임이다. 지난 시즌 J리그 비셀 고베로 떠난 공격수 무고사 복귀의 불씨도 여전히 꺼지지 않고 있다. 집토끼들과의 연장계약 소식도 이어졌다. 델브리지, 김준엽(~2024), 이명주, 김보섭, 정동윤, 김동민(~2025) 등 주요 선수들이 2~3시즌 더 인천에 남기로 결정했다. 인천의 발 빠른 움직임에는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지난 시즌 K리그 4위에 올랐고, 구단 역사상 최초로 아시아챔피언스리그(ACL)에 진출권을 거머쥐었다. 커진 위상과 늘어날 스케줄이 예상되는 만큼 그에 걸맞는 탄탄한 선수층이 필요한 상황이다. 보강은 지난 연말을 기점으로 시작됐다. 지난 시즌 K리그1 김천 상무에서 활약하며 실전 감각을 유지한 즉시전력감 선수들인 문지환, 정동윤, 지언학이 전역 후 팀에 합류했다. 수비 라인은 김연수와 권한진을 영입하고, 델브리지,
올 시즌 두 번째 김천 상무의 전역 시장이 열린다. 지난 9월 3기 전역에서는 14명의 선수들이 원 소속팀에 복귀했다. 그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는 조규성은 김천 상무 입대 후 잠재력을 꽃피웠다. 올 시즌 전북 현대 복귀 후 FA컵에서 준결승부터 연속골을 터뜨리며 우승에 결적적인 기여를 했다. 더해 벤투호에도 합류, 최근 치러지고 있는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월드컵 최초의 한 경기 멀티골의 역사도 썼다. 김천 상무는 이제 선수들 실력향상의 토대이자 메카가 되어가고 있다. 이번 기수는 타이밍도 좋다. 팀 입장에서는 오프시즌 합류로 동계훈련을 함께 할 수 있고, 시즌 전 전력 구상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2023시즌부터 김천 상무 전역 선수들을 활용하게 될 팀들을 살펴본다. ●수원 삼성 전역자 : 고승범(MF) 올 시즌 승강 플레이오프를 거치며 극적으로 살아남은 수원 삼성은 고승범의 복귀를 오매불망 기다렸다. 오현규, 전세진, 안병준 등 마무리를 지어줄 선수는 충분했지만, 과정을 만들어 줄 선수가 시즌 내내 아쉬웠다. 지난 7월 명준재와 박상혁이 먼저 복귀했지만, 팀의 승강 플레이오프행을 막을 수 없었다, 2
대전하나시티즌이 김천 상무를 잡고 1부 승격 가능성을 높였다. 대전은 26일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22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PO) 1차전서 조유민과 주세종의 연속골로 김천에 2:1 역전승했다. 이날 선제골은 김천의 몫이었다. 전반 21분 이영재가 올린 코너킥을 김천 문지환이 내리찍는 헤더로 대전 골문을 갈랐다. 대전도 길지 않은 시간 동점골로 추격했다. 전반 35분 대전 이진현의 코너킥이 문전서 흐르자 조유민이 차 넣으면서 균형을 맞췄다. 공방을 주고받던 양팀의 균형은 후반에야 깨졌다. 후반 28분, 김인균의 헤더가 키퍼를 맞고 나오자 교체투입된 마사가 집중력을 발휘해 옆으로 밀어줬고, 자리를 잡고 있던 주세종이 빈 골문에 공을 차넣었다. 이로써 대전은 오는 29일 김천 원정서 비기기만 해도 1부로 승격이 가능하다. 원정 다득점 원칙은 폐지됐다. 전신인 대전시티즌 시절 강등된 뒤 7년 만이다. 반면 김천은 승격 1년 만에 강등 위기에 직면했다. 대전 이민성 감독은 종료 후 "이제 전반전이 끝났다. 후반전(2차전)을 준비하도록 할 것"이라면서 긴장을 놓지 않았다. 앞서 대전은 지난해에도 1차전 홈에서 승리했으나 2차전서 대패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