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열했다. 속도감은 손에 땀을 쥐게 했다. 함성과 열기가 있었다. 기자가 처음으로 '직관'한 eK리그 챔피언십 시즌 1 개막전 이야기다. 어떻게 즐기든, 축구는 역시 재미있다. 게임, 그리고 e스포츠만의 매력도 있었다. FC온라인 최상위 리그인 ek리그 챔피언십 시즌 1이 19일 서울 송파구 비타500 콜로세움에서 개막했다. 현장 분위기를 전하기에 앞서, 미리 고백하자면 기자는 소위 '축겜알못'이 된지 오래였다. 마지막 축구게임의 기억을 더듬으면 지하 오락실의 퀴퀴한 냄새가 함께 따라왔다. 일본 세이부사의 일명 '세이부 축구'나 온갖 마법성 그래픽이 난무하던 '테크모 사커', 잘해야 피파 2000이라고 불리던 시대가 마지막이다. 그래서 더욱 감탄했다. 완벽히 e스포츠로 거듭난 축구 게임의 현장은 놀라웠다. 다양한 이벤트가 개막전의 분위기를 달구는 가운데, 참가 팀들을 상징하는 유니폼과 대형 로고가 장엄한 분위기를 만들었다. 선수들과 팬들의 거리도 숨소리가 들릴 만큼 가까웠다. 경기 시작 2시간 전에 이미 현장 판매분 매진 푯말이 세워져 있을 만큼, 치열한 티켓팅을 통해 들어온 관객들은 경기장 곳곳에
2023년 40주년을 맞은 K리그가 약 10달의 긴 여정을 마쳤다. 이번 시즌엔 유료관중 집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팬들이 구장을 찾아왔다.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300만 관중 시대다. 창단 첫 2연패를 달성한 울산 현대, 광주FC의 돌풍을 이끈 이정효 감독 그리고 창단 최초 강등이라는 성적표를 받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까지, 풋볼먼데이가 2023시즌 많은 이야기를 써냈던 리그1 팀들을 간략결산해 봤다. FC 서울 기대와 실망이 반복됐다. 시즌 전 조영욱, 이상민, 윤종규가 입대로 팀을 이탈했다. 주축 선수들이 빠진 서울은 임상협, 이시영, 박수일, 김경민을 영입해 공수 부분에 전력 강화했다. 더불어 국가대표 공격수 황의조와 대전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보인 윌리안을 임대 영입해 울산, 전북과 더불어 우승 후보로 거론됐다. 서울이 로빈1 돈 시점에서 2위로 마감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알렸다. 하지만, 19R 슈퍼매치를 끝으로 황의조가 임대 종료로 팀을 떠난 뒤 서울은 흔들렸다. 20~27라운드 동안 1승 4무 3패로 황의조의 공백이 느껴졌다. 급기야 27라운드 경기 이후 안익수 감독이 기자회견장에서 자진사퇴 의견을 밝혔다. 정규시즌 6경기 남은 시점, 서울
2023년 40주년을 맞은 K리그가 약 10달의 긴 여정을 마쳤다. 이번 시즌엔 유료관중 집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팬들이 구장을 찾아왔다. 2018년 이후 처음으로 열린 300만 관중 시대다. 창단 첫 2연패를 달성한 울산 현대, 광주FC의 돌풍을 이끈 이정효 감독 그리고 창단 최초 강등이라는 성적표를 받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까지, <풋볼먼데이>가 2023시즌 많은 이야기를 써냈던 리그1 팀들을 간략결산해 봤다. 울산 HD FC 호랑이가 2년 연속으로 포효했다. 2연패를 기록한 울산은 시즌 처음과 끝 모두 1위로 마무리지었다. 시즌 초반부터 디펜딩 챔프 다운 강한 면모를 보인 울산은 개막 6연승을 달성했다, 승격팀 대전에 발목이 잡혀 개막 최다 7연승 대기록엔 실패했지만, 이후 승승장구한 울산에 적수가 없었다. 35R 일찌감치 우승을 확정했다. 홍명보 감독과 재계약하며 왕조 건설의 의지를 보였다. 다만 울산도 경기장 내외적 부분서 아쉬움을 보이기도 했다. 시즌 중반 이명재, 박용우, 이규성이 인스타그램에 인종차별적인 발언을 해 논란을 빚은 바 있다. 또한 박용우가 이탈한 뒤 수비형미드필더 자리에 대해 불안감을 드러내며 휘청이는 모습을 보였다.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