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축구의 봄은 더 따뜻해졌다. 3라운드까지 소화한 K리그가 다양한 이슈를 몰고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벌써 많은 이야깃거리가 그라운드를 달군다. 디펜딩 챔피언 울산의 강세는 초반부터 이어졌고, 광주는 작년의 돌풍이 우연이 아니란 것을 증명했다. 리그1 팀을 처음으로 맡은 김천의 정정용 감독, 수원의 김은중 감독 그리고 포항의 박태하 감독이 좋은 출발을 알렸다. 한편, 이번 겨울 공격적인 이적행보를 보인 전북이 부진을 털어내지 못하는 중이다. <풋볼먼데이> 가 리그의 초판 이슈를 키워드로 정리했다. K리그 인기, 지난해보다 더 뜨겁다 지난 시즌 리그1은 처음으로 한 시즌 200만 유료 관중을 돌파(244만7147명)하며 최고 흥행 역사를 썼다. 이번 시즌 초반 분위기를 보면 지난해 흥행이 우연이 아니란 것을 증명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에 따르면 개막전부터 3라운드까지 리그1 총 관중은 27만4810만명이라고 발표했다. 지난해(21만8861명)와 비교해 올해 약 6만명이 늘었다. 라운드별 관중수도 유의미한 수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1라운드엔 역대 최다인 10만1632명이 찾아왔고 2라운드엔 6만1233명이었다. 이번 시즌엔 9만 4460명에 이어
인천이 지난 시즌 리그 챔피언 울산을 상대로 시즌 첫 골과 승점 1점을 확보했다. 울산과의 최근 상대 전적에서도 1승 3무 1패의 호각세를 유지했다. 17일 오후 4시 30분 울산 문수월드컵경기장에서는 ‘하나은행 K리그1 2024‘ 3라운드 울산 HD와 인천 유나이티드의 시즌 첫 맞대결이 펼쳐졌다. 인천은 울산에게 3골을 허용했지만, 무고사의 결정력이 빛을 발하면서 승점 1점을 확보했다. 지난 2경기에서 연승을 달린 울산은 3연승에 도전하는 경기였다. 2라운드에서 멀티 골을 기록한 이동경을 중원에 배치한 가운데 켈빈과 보야니치 두 외국인 선수에게 시즌 첫 선발 출전 기회를 부여했다. 최전방은 마틴 아담이 나섰다. 2라운드까지 승리가 없었던 인천은 첫 승이 목표였다. 지난 경기 무실점의 견고함을 과시한 오반석-요니치-김연수 쓰리백을 가동한 가운데 무고사와 제르소, 박승호가 최전방에서 팀의 첫 득점을 노렸다. 첫 슈팅은 인천에서 나왔다. 전반 1분 무고사의 패스를 받은 제르소가 왼발 슈팅을 날렸고, 울산 골문 바깥 그물을 흔들며 위협을 가했다. 울산도 전열 정비 후 예열을 시작했다. 전반 16분 보야니치 기점, 이동경 연계가 장시영의 슈팅
포항이 광주의 돌풍을 잠재우면서 2연승을 이어갔다. 17일 오후 2시 스틸야드에서는 하나원큐 K리그 2024 3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 광주FC의 경기가 펼쳐졌다. 포항이 후반 시간에 터진 정재희의 극장골에 힘입어 1-0 승리를 거뒀다. 홈 연승이다. 포항 조르지가 선제골 기회를 날렸다. 7분 황인재의 롱패스를 조르지가 안영규와 경합을 이겨낸 뒤 뒷공간을 파고들었다. 이후 .김경민 골키퍼와 일대일 상황에서 득점으로 연결하지 못헀다. 먼저 칼을 빼든 광주가 안혁주를 빼고 3골을 기록 중인 가브리엘을 투입했다..조르지의 득점 기회를 제외하면 양 팀의 탐색전이 전반 30분까지 이어졌다. 조르지의 일대일 상황을 막았던 광주 김경민이 슈퍼 세이브로 재차 실점을 막았다. 김경민은 31분 박스에서 홍윤상이 쏜 왼발 슈팅을 몸을 날려 쳐냈다. 광주는 전반 내내 포항의 수비를 파훼하지 못하면서 답답한 경기력을 펼쳤다. 그나마 전반 후반들어 광주는 전진 패스 횟수를 늘리면서 공격의 실마리를 찾아갔다. 42분 이희균이 포항의 밀집 수비를 뚫고 슈팅을 때렸지만 황인재 골키퍼 선방에 막혔다. 전반 막바지 양 팀의 공격수들이 부상으로 피치를 떠났다. 포항은 백성동 대신 홍윤상을, 광
울산이 '현대가더비'에서 승리를 거두며 ACL 4강에 진출했다. 울산 HD FC가 12일 울산 문수경기장에서 펼쳐진 전북 현대 모터즈와의 ACL 8강 2차전을 1:0으로 꺾었다. 울산이 합계 스코어 2:1로 4강에 진출했다. 전반 추가시간에 터진 설영우의 득점을 후반전까지 지켜냈다. 울산은 이 경기 승리로, 산둥 타이산과 요코하마 F.마리노스 승자와 4강에서 맞붙는다. 울산은 조현우 골키퍼가 장갑을 착용했다. 이명재, 김영권, 황석호, 설영우가 수비진을 구성한다. 허리에는 고승범과 이규성이 버텼다. '국가대표' 타이틀을 단 주민규가 공격을 이끌고 루빅손, 아타루, 엄원상이 주민규를 지원했다. 전북은 김정훈 골키퍼에게 골문을 맡겼다. 김진수, 홍정호, 박진섭, 김태환이 수비를 맡았다. 맹성웅과 이수빈이 중원에, 문선민과 이동준이 측면에 배치됐다. 티아고와 송민규가 최전방에서 울산의 골문을 노렸다. 양 팀은 ACL 4강 진출이 걸린 만큼 초반부터 치열한 공방전을 이어갔다. 먼저 홈 이점을 살린 울산이 높은 점유율로 좋은 기회를 만들어냈다. 전반 7분 주민규의 전진 패스를 받은 루빅손이 박스안에서 슈팅을 가져갔지만 수비벽에 막혔다.
기세를 이어가고 있는 광주가 포항을 꺾고 분위기를 이어갈까. 17일(일) 오후 2시 포항 스틸야드에서는 ‘하나원큐 K리그1 2024’ 포항 스틸러스와 광주FC의 3라운드 경기가 예고돼 있다. 3월 A매치 휴식기 앞두고 마지막 경기다. 지난해 광주와 포항의 맞대결은 경기 결과만큼 감독들 간의 지략싸움도 치열했다. 양 팀은 전적에서 1승 2무 1패로 균형, 각각 홈에서 1승씩 거둔 뒤 나머지 2경기에서 무승부를 거뒀다, 득실에서도 나란히 5득점씩 나눠 가졌다. 하지만, 이번 시즌 양 팀의 맞대결에서 변경된 점이 있다. 이정효 감독이 김기동 감독의 포항이 아닌 박태하 감독의 포항을 맞붙는다. 이정효와 박태하의 맞대결도 여러모로 관전 요소다. 양 감독의 전술적 부분에서 비슷한 점이 많다. 공을 소유시 상대방을 수비지역까지 끌어들인 다음 전방 롱패스를 통해 빌드업을 전개, 공이 없을 때는 강하게 압박을 건다. 그리고 양 감독은 팀을 승격한 이력을 지녔다. 이정효 감독은 2022시즌 광주를 맡아 리그2에서 다이렉트 승격을 이룬 뒤 2023시즌 광주를 3위에 안착시키며 팀 최초 ACLE 진출에 견인했다. 박태하 감독은 2016년 옌볜 푸더를 갑급
사제 대결서 스승이 웃었다. 10일 오후 2시 제주월드컵경기장에선 ‘하나원큐 K리그1 2024’ 제주 유나이티드와 대전 하나 시티즌의 2라운드 경기가 펼쳐졌다. 제주가 유리 조나탄의 PK 2골과 진성욱의 쐐기골에 힘입어 대전을 3:1로 꺾으며 7년만에 홈 개막전서 승리했다. 김학범 감독이 이끄는 홈팀 제주는 4-4-2 전형을 내세웠다. 김동준이 골키퍼 장갑을 꼈고, 이주용, 송주훈, 임채민, 김태환이 백4를 구성했다. 중원은 김승섭, 최영준, 이탈로, 한종무가 맡았고, 최전방 투톱 라인에 유리 조나탄과 탈레스가 이름을 올렸다. 이민성 감독이 이끄는 원정팀 대전은 4-3-3으로 맞섰다. 이창근이 골문을 지켰고, 이정택, 홍정운, 아론, 강윤성이 백4를 형성했다. 중원은 김준범, 이순민, 김한서가 지켰고, 최전방에서 이현식, 구텍, 김인균이 제주 골문을 노렸다. 대전은 전반 6분 좋은 전방 압박으로 제주 골문을 위협했다. 제주가 후방 빌드업을 시도하자 김인균이 강하게 압박해 김동준 골키퍼의 킥을 방해했다. 이때 김동준의 킥이 김인균 몸 맞고 골대 밖으로 나가면서 실점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전반 8분 제주 코너킥 상황에서 송주훈의 헤더 패스